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

캘리그라피 도구 여행 — 붓, 먹, 한지 이야기 오늘은 내가 사랑하는 글씨 도구들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한다. 붓, 먹, 한지—이 세 가지는 단순한 재료를 넘어, 글씨에 감정을 담게 해주는 진짜 동반자들이다. 1. 붓끝에서 시작된 이야기붓은 나에게 가장 처음이자, 가장 오래된 도구다. 손에 쥐는 순간, 긴장되면서도 묘한 설렘이 있다.처음 붓을 잡았을 때는 너무 어렵고 낯설었다. 강약 조절이 어렵고, 종이 위에서의 방향이 자꾸 흔들렸다.하지만 연습을 거듭할수록, 붓이 내 감정을 이해하고 함께 움직여주는 느낌이 들기 시작했다.붓은 단순히 선을 긋는 도구가 아니다.한 획 안에 속도, 감정, 힘, 쉼표 같은 것을 담아낸다.그래서 같은 단어를 써도 누가 어떤 붓으로 썼는지에 따라 완전히 다른 분위기가 된다.나는 주로 중간 굵기의 모필을 사용한다.너무 얇으면 감정.. 2025. 6. 25.
계절을 그리다 — 봄날의 꽃과 캘리그라피 봄은 눈으로 피고, 마음으로 져간다. 오늘은 봄날의 꽃과 함께했던 캘리그라피의 순간들을 꺼내본다. 1. 봄이 오면 가장 먼저 붓을 든다봄이 오면 자연스레 붓을 들게 된다.아직 아침 공기에는 겨울의 찬 기운이 남아 있어도, 햇살의 결이 바뀌는 순간 나는 알 수 있다.아, 봄이구나.그 계절의 기운은 글씨를 타고 온다.유채꽃이 핀 산책길, 벚꽃잎이 흩날리는 도심 골목, 개나리와 진달래가 담벼락을 채우는 마을 어귀—이 모든 것이 캘리그라피의 배경이 된다.봄의 글씨는 다르다.힘을 뺀 획, 부드러운 곡선, 따뜻한 간격.나도 모르게 그런 느낌을 담게 된다.단어를 선택할 때도 ‘소풍’, ‘햇살’, ‘설렘’, ‘꽃잎’, ‘기다림’ 같은 단어들이 먼저 떠오른다.그 단어들을 써내려가는 동안, 나는 봄을 ‘보고’ 있는 게 아.. 2025. 6. 22.
손글씨, 마음을 전하는 편지 — 캘리그라피가 사람을 연결할 때 사람과 사람 사이, 그 사이를 이어준 것은 한 획의 손글씨였다. 오늘은 동호회와 외부 활동 속에서 만난 따뜻한 순간들을 이야기해보려 한다.1. 시작은 작은 모임이었다처음엔 그저 나 혼자 붓을 들고 글씨를 쓰던 시간이 전부였다.하지만 어느 날, 이 따뜻한 시간을 다른 사람들과도 나누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고, 그렇게 회사 동호회를 만들게 되었다.함께 붓을 잡고, 종이 앞에 앉아 조용히 글씨를 써내려가는 그 순간들 속에서 우리는 점점 가까워졌다.말보단 마음이 오가는 시간, 손끝에서 흐르는 감정이 우리를 연결해주었다.동호회는 시간이 지나며 단순한 ‘활동’ 이상의 의미가 되었다. 회사 밖에서 강의 요청이 들어오기도 했고, 처음엔 떨리는 마음으로 외부 교육장에 들어섰지만,눈을 반짝이며 붓을 쥐는 수강생들을 볼 때마.. 2025. 6. 7.
[캘리그라피]붓을 들고 떠난 제주 — ‘바람’과 ‘시간’이 머무는 글씨 이번에는 붓글씨와 여행이 만난 이야기다. 제주의 바람 속에서 써내려간 글자들, 그리고 그곳에서 느꼈던 감정을 함께 나누고자 한다.1. 바람이 머무는 섬, 제주의 감성제주는 나에게 ‘쉼’의 다른 이름이다. 늘 분주한 도시의 흐름 속에서 벗어나고 싶을 때면, 나는 제주의 바람을 떠올린다.그 바람은 매번 다른 온도로 나를 맞이한다.차가운 겨울 바람은 마음을 맑게 하고, 따뜻한 봄바람은 나를 어루만져준다.이곳은 캘리그라피를 하기에도 참 좋은 공간이다.한적한 돌담길, 고요한 바닷가, 바람이 흔드는 억새들—이 모든 풍경이 글씨로 쓰고 싶게 만든다. 눈에 보이는 장면이 아니라,그 순간의 공기와 감정을 종이에 담고 싶다는 충동이 일어난다.나는 종종 공항에서 내려 첫 마디로 “바람이 반가워”라는 글귀를 써넣곤 한다.아무.. 2025. 6. 6.
캘리그라피에 마음을 담다 — 감정이 흐르는 획의 미학 글씨는 마음의 거울이다. 오늘은 자음과 모음에 감정을 담는 방법, 그리고 내가 가장 사랑하는 글자 하나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보려 한다.1. 글씨는 마음의 형태다한글 자음과 모음은 소리의 조합이지만, 그 형태는 마음의 흔적을 담기에 아주 적합하다. 획을 길게 뺄지, 점을 작게 찍을지, 기울기를 약간 줄지 말지 그 선택 하나하나에 따라 글씨는 완전히 다른 표정을 갖게 된다. 이것이 캘리그라피가 단순한 '예쁜 글씨'를 넘어서는 이유다.예를 들어, ‘ㅁ’이라는 자음을 쓸 때, 네모를 단단하게 닫으면 차분하고 정제된 느낌이 들고,윗면을 살짝 열면 개방감이 느껴진다.‘ㅅ’은 뾰족하게 위로 세우면 강인함, 둥글게 휘면 부드러움이 스며든다.모음 ‘ㅏ’는 수직선에 곧게 서 있는 기운이 있고, ‘ㅜ’는 밑으로 향해 내려앉.. 2025. 6. 3.
캘리그라피란 무엇일까? — 붓끝에서 시작된 나의 여행 소개합니다감성과 예술, 그리고 나의 여행을 담은 글씨 이야기.오늘은 캘리그라피란 무엇인지, 그리고 내가 어떻게 이 길을 걷게 되었는지를 들려주려 한다.1. 캘리그라피는 단순한 '예쁜 글씨'가 아니다캘리그라피(Calligraphy)는 그리스어 ‘καλλιγραφία(아름다운 글씨)’에서 유래된 말이다.오늘날에는 감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널리 알려졌지만, 사실 그 뿌리는 꽤 깊고 전통적이다.동서양을 막론하고 글씨는 단순한 기록의 도구를 넘어 ‘예술’로 발전해왔다.한국의 서예, 중국의 해서와 초서, 이슬람의 아라베스크, 서양의 고딕체 등 각각의 문화권에서 '글'은 시대의 정신을 담아내는 그릇이었다. 캘리그라피는 이처럼 역사적 맥락 위에 놓여 있으며, 단순히 예쁜 글씨를 쓰는 기술이 아닌, 글을 통해 ‘느낌’을.. 2025. 5. 27.